블로그 소스를 수정하여 메타 태그 등록, robots.txt 설정 변경으로 색인 > 노출이 더 잘되도록 하는 방법 입니다.
HTML 소스 > 매타 태그 키워드를 설정하고, 로봇 설정을 추가합니다.
티스토리 기준 스킨 편집 > html 편집 > HTML 소스에서 아래의 내용을 추가 합니다.
html 코드에서 아래 문자열로 검색을 합니다.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스킨 마다 위치가 상이하나, 라인 기준 대략 15번째 ~ 20번째 라인입니다.
마우스로 스크롤 해도 되고, 검색으로 찾아도 됩니다.
메타 태그가 설정되어 있는 위치를 찾아서 추가 설정을 해주기 위함 입니다.
<meta 로 시작하는 문장이 메타 태그를 말합니다.
찾았다면, 아래 코드를 추가 합니다. 두번째 줄은 자신의 블로그에 맞게 수정 합니다.
<meta name="robots" content="index,follow">
<meta name="keywords" content="Python, Security, Frontend, CodeSnippet, JavaScript, Hacking, Cloud">
첫번째는 검색엔진 봇에 전달되는 설정 내용입니다.
- "index"는 해당 페이지를 검색 결과에 포함시킬 것을 의미하고,
- "follow"는 해당 페이지에서 링크된 다른 페이지를 따라가도록 지시합니다.
>> 이 페이지는 검색 엔진에 의해 색인화되고, 이 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는 링크는 따라가도록 허용됩니다.
두번째는 웹 페이지와 관련된 키워드나 주제를 알리는 부분입니다.
메타 태그를 사용하여 블로그의 내용이나 주제를 설명하고, 검색 엔진에게 어떤 키워드와 관련이 있는지 알리는 부분입니다. 검색 엔진은 메타 키워드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검색 결과에서 어떻게 나타낼지 결정하거나, 특정 키워드로 검색할 때 해당 웹 페이지를 포함할지 여부를 고려합니다.
다만, 메타 키워드 태그는 더 이상 검색 엔진에서 순위 결정에 거의 반영은 하지 않습니다.
검색엔진 최적화 측면에서는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이나.. 블로그의 주제등을 알리고, 블로그 내 컨텐츠의 자동 분석을 통해서 검색엔진에 검색이 더 잘되도록 도움이 되는 측면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끝
'티스토리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나의 구글 애드센스 ID 확인 방법 (1) | 2023.09.01 |
---|---|
[애드센스] 판매자 정보를 Google sellers.json 에 게시.. (2023.09 확인) (0) | 2023.09.01 |
[티스토리] 글 하단에 공감 버튼 글 넣는 방법 (0) | 2023.06.17 |
[SEO] 내 블로그/사이트에 트래픽을 늘리기 위한 팁 (0) | 2023.06.14 |
[SEO] 구글/네이버에 내 블로그 검색 잘되게 하기 1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