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특정 서비스를 설치한 패키지(rpm)가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설치는 했는데 무슨 패키지로 설치 했는지 기억 나지 않음. 지우고 싶은 서비스 인데, 무슨 패키지인지 알 수 가 없음. 시스템 관리자가 알지 못하는 서비스가 동작 되고 있을때, 무슨 패키지로 설치 되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2.시스템에 설치, 동작 중인 서비스의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스템에 설치된 서비스 목록 확인 [root@localhost ~]# systemctl list-units --type=service 2.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 확인 [root@localhost ~]# systemctl list-units --type=service --state=active 또는 [root@localhost ..
1. 리눅스에서 파일, 디렉토리의 권한을 알기 위해서는 rwx 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 파일 권한 숫자 ) 파일 권한을 구분하는 경우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읽기(r) Reading 4 쓰기(w) Writing 2 실행(x) Executing 1 이 숫자들은 8진수로 바꿔서 해석을 할 수 있다. 2. 그런데 rw, rwx 등 으로 읽지 않고 그냥 숫자로 보고 싶습니다.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 ls -al /etc/passwd | awk '{k=0;for(i=0;i
1.차단 사이트 접속 우회 방안은 VPN 이 항상 정답은 아닙니다. 차단된 사이트에 접속이 필요한 경우 VPN을 써야 한다고? 여기 저기서 홍보? 광고?를 하는데, VPN이 필요 없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접속에 문제 없던 사이트가 갑자기 접속이 되지 않는 다면, 대체적으로 아래 상황입니다. 번호 사유 방안 1 접속 IP가 명확히 차단됐음 차단되지 않는 IP로 접속 필요 (IP 우회) 2 친구는 접속되는데, 나만 접속 안됨, 뭔가 한것이 없음 차단을 하고 있는 요소 해결 필요 2.대부분의 경우는 SNI 검사 및 필터링에서 차단 됩니다. SNI? 간단하게 말하면 브라우저에서 https://접속하고자하는도메인.com 을 입력하였을때, 접속하고자하는 도메인.com 을 사전에 검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
1.티스토리등 플랫폼 업체등은 계정만 연동하면 구글 광고를 자동으로 적용 해줍니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긴 하지만, 티스토리의 경우 이런 부분을 이용하여 중간에 자체 광고도 삽입 하도록 바뀌었습니다. 100% 나의 구글광고만 보여 주는 것이 아닌 것으로 확인 되고 있습니다.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구글 광고를 넣기 위해서는 나의 애드센스 ID 를 알아야 합니다. 2.나의 구글 애드센스 ID 찾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1) 애드센스 계정에서 찾기 애드센스 계정에 로그인 합니다. 광고 > 가운드 코드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팝업 되는 창에서 adsbygoogle.js?client=ca-pub-0238085789746650 부분이 애드센스 ID 입니다. (2) 블로그에 게시된 광고에서 코드에서 찾기 웹 ..